출처 Ethshanghai
상하이 하드포크는 이더리움 2.0 업그레이드의 최종 단계야.
작년 9월 이더리움은 더 머지를 통해 기존의 이더리움 블록체인과 이더리움의 거래를 검증 해 주는 시스템 체인, 비콘 체인을 병합했어.
상하이 하드포크는 비콘 체인에 스테이킹 되어있는 이더리움의 락업(보관)을 해제하는 작업이야. 이더리움 2.0에 스테이킹한 이더리움을 상하이 업그레이드 완료 후에 언스테이킹 할 수 있는거지. 스테이킹 참여자에게는 참여 보상도 주어진다고 해. 현재 비콘 체인에는 총 350만 개의 이더리움이 보관 중으로 확인되고 있어.
상하이 하드포크의 임시 기한은 2023년 3월로 정해졌어. 다시 말해 이더리움 2.0에 스테이킹을 한 사람들은 올해 3월부터 이더리움을 언스테이킹 할 수 있는 거야. 이더리움 캣 허더스의 프로젝트 매니저 푸자 란잔 역시 지난 12월 이더리움 핵심 개발자 회의에서"모든 것이 계획대로 진행된다면 내년 3월에 메인넷에서 계획된 상하이 하드포크를 통해 이더리움 출금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으니 내부에서도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아.
상하이 하드포크는 EIP-4895 라는 이름으로도 불리고 있어. EIP는 'Ethereum Improvement Proposal'의 약자로 직역하면 이더리움의 개선안이라는 뜻이야. EIP는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기능을 추가하고 새로운 표준을 만들기 위해 제시된 제안이야. 뒤에 있는 숫자는 제안된 순서를 의미해.
예를 들어, EIP-4895는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4895번째 제안이라는 의미지. EIP는 이더리움 플랫폼에 대한 표준이기 때문에 토큰의 표준 규격을 의미하는 ERC와는 다른 의미를 가진다는 점, 알아두면 좋겠지?
상하이 하드포크 이후에는 뭐가 예정되어 있어?
상하이 하드포크 이후에는 댕크샤딩(danksharding) 방식을 활용한 EIP-4844 업데이트가 예정되어 있어. 댕크샤딩은 네트워크 용량을 확장해 더 많은 트랜젝션을 처리하게 만들 수 있지.
다시 말해 거래 수수료 즉, 가스비를 줄일 수 있다는 거야.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가장 큰 문제점이었던 가스비 부담이 해결된다면 이더리움 기반 NFT 프로젝트들이 활성화되고 이더리움의 생태계 역시 확장될 것으로 전망돼.
반달이들 안녕!
오늘은 2023년을 맞아 불안정한 시장 질서를 바로잡기 위한 규제 방안과 올해 3월에 있을 이더리움의 상하이 하드포크 업그레이드에 대해 설명해 주려고 해. 2023년에도 크립토 시장은 변화무쌍할 예정이니까 오늘 레터 잘 부탁해!
🟡 NFT 아티스트 DesLucrece가 트위터를 통해 축구팀 맨체스터 유나이티드가 자신의 컬렉션을 복사했다고 비난했어. DesLucrece는 트위터에 그의 컬렉션인 'Monsters'와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The devils'를 나란히 비교하는 게시물을 올렸어.
🟡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의 운영사인 두나무가 국내 멸종 위기 식물 10종의 NFT를 제작했어. 해당 NFT는 멸종 위기 식물을 보호하려는 목적으로 만들어졌으며, 판매대금과 수수료의 전액은 '식물 보호 기금'을 조성하는 데 사용된다고 해.
🟡국내 NFT 시장에서 카카오에 비해 비교적 늦게 모습을 드러낸 라인이 빠르게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어. 카카오가 가상자산 지갑 가입자 200만 명을 돌파하기까지 30개월이 걸린 반면, 라인은 베타서비스 만으로 3개월 만에 38만 명의 가입자를 확보했다고 해.
📕Regulation
불안정📉한 가상자산, 무엇으로 규제하지?
출처 unsplash
미카(MiCA)는 Markets in Crypto Assets regulation의 약자로 암호화폐의 정의부터 발행사와 거래소에 대한 규제를 집대성한 EU의 법률이야.
미카는 가상자산을 크게 일반 가상자산과 자산 준거 토큰, 전자화폐의 3종으로 구분하고 공시와 백서 공표의 의무를 부여할 예정이라고 해.
여러 전문가들은 미카를 통해 루나·테라 및 위믹스 사태 등으로 불안정한 시장의 근간을 바로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어. EU의 고문인 피터 컬스튼스(Peter Kerstens) 또한 IT조선과의 인터뷰에서 "이번에 시행될 미카는 소비자 보호, 시장 강령 등 필수 요소가 포함돼 있어 시장 질서를 잡을 수 있을 것"이라 언급하기도 했지.
또한 국내에서 역시 시장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움직임이 보이고 있어. 국내의 금융 정책 기능을 담당하는 금융위원회에서는 지난 15일 "정부에서 시장의 상황에 맞게 가상자산에 대한 여러 가지 규제들을 하고 있고, 확대해나갈 예정"이라고 발표했어. 또한 증권형 STO에 대한 가이드라인 역시 준비 중이라고 덧붙이기도 했지. 특히 가상자산 수탁 등 특정 부분에 대해서는 위에서 설명한 미카의 법안을 참고할 것이라는 언급도 있었어. 그 외에도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업권법이 발의되고, 가상자산 과세 시행 시기를 2023년 1월에서 2025년으로 연기하는 등 국내 시장 안정화를 위해 각종 수단을 마련하고 있지.
바이낸스의 아시아 태평양 지역 책임자 레온 퐁 대표는 IT 조선과의 인터뷰에서작년의 사건사고는 오히려 시장의 회복력을 보여줄 수 있는 기회라는 전망을 밝히기도 했어. 수많은 사건 사고가 있었던 2022년이 격동의 한 해였다면, 2023년은 시장의 '재편성'을 위한 시간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제시되는 거야.
하지만 규제가 생긴들 알고 활용하지 않는다면 아무 의미가 없겠지. 무슨 시간에 그걸 다 알아보고 활용하겠냐고? 걱정하지 마. 새로운 소식에 대해서는 노브가 누구보다 빠르게 알려줄 테니까.
🪙Ethereum
이더리움, 상하이 하드포크🍴 업그레이드
출처 Ethshanghai
상하이 하드포크는 이더리움 2.0 업그레이드의 최종 단계야.
작년 9월 이더리움은 더 머지를 통해 기존의 이더리움 블록체인과 이더리움의 거래를 검증 해 주는 시스템 체인, 비콘 체인을 병합했어.
상하이 하드포크는 비콘 체인에 스테이킹 되어있는 이더리움의 락업(보관)을 해제하는 작업이야. 이더리움 2.0에 스테이킹한 이더리움을 상하이 업그레이드 완료 후에 언스테이킹 할 수 있는거지. 스테이킹 참여자에게는 참여 보상도 주어진다고 해. 현재 비콘 체인에는 총 350만 개의 이더리움이 보관 중으로 확인되고 있어.
상하이 하드포크의 임시 기한은 2023년 3월로 정해졌어. 다시 말해 이더리움 2.0에 스테이킹을 한 사람들은 올해 3월부터 이더리움을 언스테이킹 할 수 있는 거야. 이더리움 캣 허더스의 프로젝트 매니저 푸자 란잔 역시 지난 12월 이더리움 핵심 개발자 회의에서"모든 것이 계획대로 진행된다면 내년 3월에 메인넷에서 계획된 상하이 하드포크를 통해 이더리움 출금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으니 내부에서도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는 것 같아.
상하이 하드포크는 EIP-4895 라는 이름으로도 불리고 있어. EIP는 'Ethereum Improvement Proposal'의 약자로 직역하면 이더리움의 개선안이라는 뜻이야. EIP는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기능을 추가하고 새로운 표준을 만들기 위해 제시된 제안이야. 뒤에 있는 숫자는 제안된 순서를 의미해.
예를 들어, EIP-4895는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4895번째 제안이라는 의미지. EIP는 이더리움 플랫폼에 대한 표준이기 때문에 토큰의 표준 규격을 의미하는 ERC와는 다른 의미를 가진다는 점, 알아두면 좋겠지?
상하이 하드포크 이후에는 뭐가 예정되어 있어?
상하이 하드포크 이후에는 댕크샤딩(danksharding) 방식을 활용한 EIP-4844 업데이트가 예정되어 있어. 댕크샤딩은 네트워크 용량을 확장해 더 많은 트랜젝션을 처리하게 만들 수 있지.
다시 말해 거래 수수료 즉, 가스비를 줄일 수 있다는 거야.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가장 큰 문제점이었던 가스비 부담이 해결된다면 이더리움 기반 NFT 프로젝트들이 활성화되고 이더리움의 생태계 역시 확장될 것으로 전망돼.
💬 Opinion
🎫NFT 티켓 , 암표의 해결책이 될 수 있을까?
출처 Binance
최근 NFT 기술이 시장의 주목을 받기 시작하면서, 뮤지컬이나 공연의 관람권 또한 NFT 티켓의 형태로 발행되기도 했어. 국내 페스티벌인 '워터밤'부터 뮤지컬 '캣츠', 그리고 스페인에서 열리는 축구 대항전 '슈퍼컵'의 관람권까지 다양한 분야에 NFT 기술이 적용되었어.
NFT 티켓의 거래 기록은 투명하게 스마트 컨트랙트에 남기 때문에, 티켓의 출처를 손쉽게 추적할 수 있어. 이론적으로는 NFT 기술의 특징을 이용해 암표를 거래하는 불공정 행위를 예방할 수 있지.
하지만 아직 NFT 티켓의 도입을 통해 암표 거래의 완전한 근절을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해. 소규모의 공연은 예산 상의 문제로 NFT 티켓을 도입하기 어렵고, 대규모 공연에서도 시스템의 한계로 인해 모든 좌석을 NFT 티켓으로 발행하는 것이 불가능한 상태야. 암표가 아니어도 개인 간 티켓을 양도하는 경우, 어디까지의 컨트랙션을 인정할 것인지에 대한 기준이 없다는 것도 하나의 숙제로 남아있어.
오늘의 한 줄 요약
✅ NFT 티켓의 도입을 통해 어느 정도 암표 거래를 예방할 수 있으나, 여러 가지 한계로 인해 아직 완전한 근절은 어려워 보여.
공부할 때마다 느끼는 거지만, 토큰 중에 이더리움이 제일 어려운 거 같아.
나랑 비슷한 생각을 하는 반달이들도 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