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V

3월 22일 노브레터
0322. 통신사들은 왜 메타버스에 진출할까?
메일이 잘 보이지 않는다면?[웹으로 보기]
2023. 03. 22홈페이지구독하기

안녕 반달이들! 혹시 메타버스에도 관심이 있어? NFT와 메타버스는 사실 뗄레야 뗄 수 없는 기술이라는 사실! 오늘은 두들스의 발언과 함께, 국내 주요 3사 통신사들의 메타버스 사업 진출에 관한 내용을 가져와봤어. 

📨$%name%$님을 위한 Erin의 157번째 노브레터

  • SVB 파산 여파 / 아모레퍼시픽 메타버스 사옥 공개 / 롯데자이언츠 NFT
  • 두들스 공동 창업자 푸피의 발언
  • KT의 메타버스 플랫폼, 지니버스
  • 국내 통신사들의 메타버스
🗞️한 줄 뉴스

🌈Doodles

“두들스는 더 이상 NFT 프로젝트가 아니다!”

출처 두들스 공식 트위터


반달이라면 유명 NFT 프로젝트 두들스(Doodles)를 한 번이라도 본 적이 있을 거라 생각해. 최근 노브레터에서 두들스가 후속작인 두들스2를 출시했다는 소식을 전하기도 했지. 지난 17일 두들스의 공동 창업자 ‘푸피'(poopie)가 디스코드에서 “두들스는 더 이상 NFT 프로젝트가 아니라는 발언을 해서 화제가 되고 있어. 아니, 대표 NFT면서 더 이상 NFT 프로젝트가 아니라니.. 무슨 말일까?


푸피의 공식 트위터에서 해당 발언을 자세히 살펴보면, “두들스는 더 이상 NFT 프로젝트가 아니다. 우리는 미디어 프랜차이즈 회사로 발전할 것“이라고 말하고 있어. 재무적인 이익을 추구하는 NFT의 기존 행태를 추구하다 보니, 오히려 본인들의 장기 비전을 실천하기 어려웠다고 해. 이제 투기를 추구하는 홀더에겐 관심을 거두고, 충성스러운 홀더에게만 집중할 계획이라고 하네.


이번 푸피의 발언에 대한 반응은 엇갈리고 있어. 미디어 회사로 거듭나겠다는 행보를 지지하며 NFT 시장의 다음 스텝을 기대한다는 홀더도 있는 방면, 금전적으로 이익을 추구하는 홀더들을 위해 노력하지 않겠다는 발언을 비난하는 홀더도 있거든. ‘Not a NFT Project’라는 두들스를 비꼬는 NFT도 등장했어. 


코인데스크US의 보도에 따르면 지난 16일부터 17일 24시간 동안 두들즈 NFT 가격이 약 13% 하락했다고 해. NFT 시장이 점점 진화하면서, NFT 프로젝트들이 어떤 브랜드로 거듭날지에 대한 고민도 무르익는 것 같아. 두들스의 앞으로의 행보가 어떨지 지켜보자구! 

📱Genieverse

 KT의 메타버스 플랫폼 ‘지니버스’ 베타 오픈

출처 KT 엔터프라이즈 홈페이지


국내 통신사 KT에서 최근 B2C 메타버스 플랫폼을 선보였어, 일명 ‘지니버스! 아직 정식 버전은 아니고 오픈 베타(시범 서비스) 버전이야.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에서 다운받을 수 있어. 


지니버스에서는 아바타와 집, 마을을 각자의 개성에 따라 꾸미거나 친구를 초대해 소통을 할 수가 있어. 여기까진 이미 존재하던 메타버스 플랫폼들과 유사하지? 하지만, 지니버스의 가장 큰 특징은 메타버스에서 즐길 수 있는 콘텐츠에 AI를 적극 활용한다는 점이야. 대표적인 기능은 바로AI 홈트윈기능인데, AI 공간 모델링 기술을 적용했어. 도면을 기반으로 가상 공간에 현실의 집을 구현해서, 실제 우리가 살고 있는 주소를 입력하면 주택 또는 아파트의 도면을 기반으로 가상의 집이 재현된다고 해. 


아직 베타 버전이라 이외에 눈에 띄는 콘텐츠는 없어. 다만, KT는 생성형 AI 기술을 개발하여 지니버스에 다양한 콘텐츠를 채울 예정이라고 밝혔어. 유저와 자유롭게 대화하고 문의를 응대하는 인공지능 NPC와 AI 모션댄스, AI 아바타 메시지, AI 사운드·BGM 등등을 계획하고 있대. 


또, 지니버스의 ‘지니홈’에서는 KT 와이파이, 올레 TV 등 실제 사용하고 있는 KT 서비스와의 연동도 가능해. KT의 상품과 서비스를 메타버스 공간에 구현했을 뿐 아니라, 앞으로 소상공인들이 지니버스 내에 매장을 입점할 수 있도록 한다고 하니 지니버스 세계관을 점점 키울 예정인가 봐.


경제 언론 이코노미스트의 한 기자는 ‘AI를 도입한 서비스들을 좀 더 보강한 후 출시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고 말하기도 했어. 향후 출시될 정식 버전에는 재밌는 콘텐츠가 많이 생겼으면 좋겠네! 

Money Talk

📲누구보다 빠르게 남들과는 다르게, 통신사들의 메타버스 진출

출처 이프랜드 공식 홈페이지


요즘 NFT나 메타버스에 대한 기업들의 관심이 물론 뜨겁지만, 통신사들은 왜 이렇게 활발하게 메타버스와 NFT를 도입하고 있는 걸까? 

우선 NFT와 메타버스가 우리 일상으로 다가오기 위해선 이동통신 인프라가 전제되어야 해. 그런 측면에서 통신사들이 기존에 갖고 있는 기술과 메타버스 실현을 위한 기술이 만나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지. 기업 입장에선 늘 새로운 먹거리를 찾아야 하기도 하고 말이야.

앞서 소개한 KT의 지니버스 외에 국내 주요 통신사들은 어떤 행보를 보이고 있는지 한번 살펴볼게.


  • SK텔레콤

일단 현재로서는 SK텔레콤이 가장 앞서나가고 있는 것으로 보여. SKT는 국내 메타버스 플랫폼의 선두주자인 ‘이프랜드’를 2021년 빠르게 출시했거든. 이프랜드는 가상 모임을 중심으로 소셜 기능에 최적화된 메타버스로 발전하고 있어. SKT에 따르면, 이프랜드는 작년 6월에 약 870만 다운로드를 기록했다고 해. 글로벌 통신사들과 손을 잡고 해외에도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있어.

 

이프랜드는 다양한 콘텐츠와도 협약을 맺고 있는데, 이번 달에는 방송 프로그램 ‘미스터트롯2’ 출연진의 메타버스 전용 공간을 선보이기도 했어. 첫 프로젝트로 미스터트롯2 출연 가수 김용필의 전용 공간을 구축했대. 향후 미스터트롯2의 톱7 가수들은 물론, 다양한 K팝 아이돌 등 스타와 팬을 위한 전용 공간도 선보일 예정이래.

 

  • LG 유플러스

LG유플러스는 게임이나 아바타를 꾸미는 가상공간보다는, 타겟을 명확하게 설정한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어. 작년 5월, ‘유플러스 가상 오피스’‘유플러스 키즈 동물원’을 오픈 베타 버전을 공개했는데, 이름만 들어도 어떤 공간인지 알겠지?

가상 오피스에서는 아바타로 스몰 톡을 주고받고 회의에 참석하는 등 사무실에서 실제로 일어나는 활동에 집중해서 구현했대. ‘인공지능(AI) 회의록’, ‘협업 툴’ 등을 갖추며 업무 생산성을 높이는 기능도 갖췄어. 정식 출시는 올해 진행될 예정이야.

‘유플러스 키즈 동물원’은 기린, 곰, 호랑이 등 야생 동물뿐 아니라, 20여 종의 공룡 등 멸종된 생물도 만나며 배울 수 있는 서비스야. 인공지능 NPC가 아이들의 질문에 대답해 준대. 퀴즈를 제공하며 아이들에게 체험을 통한 학습 콘텐츠로 자리매김할 계획이야. 

😮DYOR😮 : Do your Own Research
노브레터는 정보를 전달하는 글이야. 절대 투자권유나 추천글이 아니야! 
암호화폐투자는 미래를 예측할 수 없는 많은 위험이 있는 생태계야. 많은 정보를 스스로 찾아보고 투자하길 바라! 
🌝오늘의 에디터 Erin

요즘 핫한 AI도, 우리가 관심 갖고 있는 NFT도 결국 가상공간으로 모여지고 있다고 생각해!

$%name%$의 의견도 궁금해. 오늘 레터가 어땠는 지 피드백을 남겨줘!
📬 info@nov-letter.com 메일을 주소록에 추가하시면, 스팸 처리 되지 않아요! 
 📬노브레터가 마음에 드셨다면 친구와 동료에게 [노브레터를 공유]해주세요
🚀 Website : www.nov-letter.com🚀
 😎Contact : info@nov-letter.com 😎

Lately Newsletter

KBW2023 : 웹3 게이밍의 현황

어떻게 더 많은 웹3 게임 유저를 모을 수 있을까?
어돕션을 위해 넘어야할 장벽
어떤 경험을 제공해야 할까?

KBW2023 : 우리가 바라보는 NFT

NFT 크리에이터 로열티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
웹3 대중화, 성장의 가능성
퍼지펭귄이 장난감을 만든 이유는? : 블록체인과 IP 확장
NFT가 전통 예술에 미치는 영향

Join our Newsletter

지금  4,937 이 NOV를 읽고 있어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