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V

3월 15일 노브레터
0315. ‍ 웹3의 친구로 돌아온 헬로봇NFT
메일이 잘 보이지 않는다면?[웹으로 보기]
2023. 03. 15홈페이지구독하기

 반달이들 안녕!! 3월 새 학기가 시작하고 이제 날씨도 따뜻해지고 있는데 잘 지내고 있어? 벌써 3월 중순에 들어서며 마스크고 벗고 다니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데 일교차가 심하니까 조심하는 게 좋을 것 같아! 올해 벚꽃은 4월 초에 열린다고 하니까 다들 약속은 미리 잡아두는 게 좋겠어. 이번 시간엔 최근 화제가 된 미국의 ‘실리콘밸리 은행(SVB)의 파산’NFTGo의 NFT 연례 보고서’알만한 사람들은 아는 ‘헬로봇NFT’ 대한 내용을 다룰거야. 기간이 짧아진 만큼 알차게 준비했으니 시작할게!💖

📨$%name%$님을 위한 Anthony의 122번째 노브레터

  • 유니티 / 고퍼런스 / 메타 / 비트코인
  • 실리콘밸리 은행(SVB)의 파산 괜찮을까?
  • NFTGo의 NFT 연례 보고서
  • 웹3의 친구가 되어줄 헬로봇(Hellobot) NFT
🗞️한 줄 뉴스

🟡 게임 엔진 개발사 ‘유니티’가 웹3 산업에 진출할 예정이야. 유니티는 비디오 게임을 만들 수 있는 엔진 중에 하나인데 VR/AR 콘텐츠를 창작하는 데에 널리 사용되고 있지. 지난 3월 1일 발표된 바에 따르면 블록체인 이뮤터블X와 협업하여 개발자들이 웹3 기반의 게임을 개발할 수 있는 SDK (소프트웨어개발키트)를 지원한다고 해. 전 세계 개발자들이 게임 속에 NFT를 쉽게 활용할 수 있게 되어 블록체인 게임이 더 많이 생겨날 것 같아.   


🟡 고스트 프로젝트 NFT의 홀더들이 자발적으로 진행하는 고퍼런스(Ghoference)가 돌아오는  3월 26일 일요일에 열린다고 해. 이번 연사에는 이화 체인 아이린님, 해시드 안수빈님, 미래에셋투자 유수영님, 팩토마인드 네이선님, 슈퍼블록 김재윤님, 라인 플레이 검열님 등 탄탄한 연사들이 함께 한다고 하는데 고스트 홀더가 아니라도 참여할 수 있다고 하니 궁금하다면 들러봐!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등에 NFT 사업을 추진한 메타(META)가 암호화폐 및 NFT 지원을 중단한다고 밝혔어. 스테판 카스리엘 메타 핀테크 책임자는 “크리에이터와 사용자, 비즈니스를 지원하는 다른 방법에 집중하기 위해 NFT를 축소하고 있다”는 내용을 트윗으로 전했어. 앞으로는 자체 결제수단인 ‘메타 페이’에 집중한다고 해. 


🟡 실리콘밸리은행(SVB)의 파산 이후 미국 정부가 예금을 전액 보전한다고 정식 발표하며 지난 12일에서 13일 비트코인(BTC) 가격이 하루 새 9% 가까이 상승했어. 이번 SVB 파산에 암호화폐 전문 은행까지 줄지어 폐쇄하며 투자심리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 같아. SVB에 대한 이야기는 아래 이어 갈게! 

💸economy

실리콘밸리 은행(SVB)의 파산 괜찮을까?

출처 unsplash


지난 10일 미국의 대형은행 실리콘밸리은행이 파산하면서 시장 전체에 위기가 불고 있어. 

IT 기업의 자금이 많이 몰려있는 만큼 개인 단위를 넘어서 크립토 업계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어. 실리콘밸리에 이어서 미국의 암호화폐 전문 은행인 시그니처 뱅크도 당국에 의해 폐쇄 조치가 내려지면서 업계의 걱정을 샀는데 불행 중 다행인 건 미국 정부에서 실리콘밸리 은행 및 시그니처 뱅크 등에 예치한 금액은 모두 보상해 주겠다고 약속했대. 


실리콘밸리은행의 규모는 어느 정도야? 

SVB(실리콘 밸리 은행)은 테크 스타트업과 VC(밴처 투자사)가 주요 고객인 은행으로 실리콘 밸리에서 많이 사용하는 은행 중 한 곳이야. 총자산은 2천억 달러의 규모로 미국 내 16위 은행인데 현실적으로 이 정도의 금액이 경제위기까지 미치지는 않는 정도라고 해. 다만 2007년 서브프라임 모기지의 규모인 3천억 달러에 가깝다는 점에서 SVB의 규모도 무시할 수는 없는 것 같아. 


왜 파산하게 된 걸까? 

가장 큰 문제는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스타트업과 VC이 자산이 부족해져 예금된 자금을 인출했다는 거야.

은행은 보통 대출 상품으로 수익을 내는데 SVB는 주택을 담보로 장기 대출을 해주는 MBS(모기지 저당증권) 채권을 많이 발행하며 문제가 생겼어. 은행 입장에서는 채권은 만기까지 보유하면 손실 없이 판매할 수 있어서 대량으로 채권을 발행했지만 막상 은행의 달러 자산 부족해지니 만기를 채우지 않은 채로 채권을 팔아야 했고, 이런 상황이 금전적으로 큰 손실을 맞게 된 거지. 하지만 금융위기와는 거리가 있다고 다수 전문가들은 입을 모았어. 과거 2007년의 금융위기와 달리 지금 SVB 사태는 금리 인상으로 테크 스타트업과 VC의 자금이 부족해진 게 가장 큰 문제였기 때문이야.


SVB에 연관된 크립토 회사도 있을까?

SVB에 자본을 예치한 크립토 회사도 꽤 많아. 대표적으로블록파이(CeFi), PROOF(문버드 NFT), USDC 스테이블 코인 발행사 써클(Circle)등이 있지. 특히 PROOF는 자본금절반에 가까운 자산이 SVB에 있었다고 해. 이런 영향 때문이었는지 SVB 파산 후  PROOF의 문버드 수백 개 NFT가 급매로 팔리기도 했어. 은행 뱅크런의 영향이 투자 심리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여. 


앞으로는 문제가 없을까?

정부에서 예금자보호를 정식으로 발표하기도 했고, 업계 전문가들의 의견도 SVB의 문제가 세계 경제 위기까지 불러오진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더 우세해. 하지만 작은 균열은 더 큰 균열을 만드는 것처럼 이제 도미노처럼 무너질 수 있다고 말하는 전문가도 있어. 미국의 방예금보험공사(FDIC)에서는 은행들의 미실현 손실 자산이 6,200억 달러(820조 원)이나 된다고 경고하기도 했으니 경제적 손실이 큰 만큼 어떤 후폭풍이 미칠지 조금 더 지켜봐야 할 것 같아.

💡report

NFTGo의 2023년 NFT  보고서


NFT마켓 및 분석 플랫폼인 ‘NFT Go’에서2023년 NFT 산업 분석 보고서를 발표했어.

2022년 한 해의 온체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NFT 시장의 주요 흐름을 살펴볼게.


📌블루칩 NFT 가격의 대폭 하락, BAYC 부동의 1위

<연간 NFT 홀더 및 트레이더> 출처: NFT Go


2022년엔 블루칩 NFT 보유자들이 27~46%의 손해를 감수하고 NFT를 판매한다고 해. 특히 작년 테라 루나의 사태 이후 6월에 가장 많은 매도량을 보이면서 판매자가 40% 이상의 손해를 보았다고 해. 

그중 1위인 BAYC NFT의 비중은 전체의 7%에 가깝게 차지하고 있어. 거래 규모만 해도 63만 9천 이더리움을 차지하며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어. 


2022년 전반적인 NFT 시장은 미 연준의 금리 인상과 테라 루나와 셀시우스의 파산으로 거래량이 급락하며 약세로 접어들었는데, 그럼에도  연말에는 앱토스 NFT와 폴리곤의 레딧의 아바타 NFT가 인기를 끌며 거래량이 회복하는 흐름을 보여주었어. 


📌NFT 트레이더는 감소 추세

<연간 NFT 홀더 및 트레이더> 출처: NFT Go


지난 1년간을 보면 2022년 상반기에는 구매자가 판매자보다 많은 반면 하반기로 갈수록 판매자의 비율이 훨씬 많아지는 것을 볼 수 있어. 전체적인 시장의 악화로 매도량이 많아진 것과 이어지는 결과지. 

최근 3개월간의 NFT 트레이더의 수도 작년 6월의 시장 충격 때와 비슷한 수치로 확실한 크립토 윈터를 체감할 수 있었어. 


📌마켓플레이스의 경쟁 과열

<연간/최근 3개월 간 NFT 마켓플레이스 거래규모> 출처: NFT Go


마지막으로 지난 2년간의 NFT 마켓 점유율 1위를 차지했던 오픈씨의 자리도 흔들리고 있어.

아직까지 거래량 1위는 오픈씨가 유지하고 있지만 NFT 마켓플레이스 ’블러(Blur)’ 가 빠르게 성장하며 NFT씬의 게임 체인저로 기대받기도 했어. 

NFT 마켓플레이스들이 사용자 확보를 위해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다양한 리워드 정책을 내놓았는데, 블러는 $BLUR 코인을 NFT 트레이더에게 보상으로 지급하며 신규 유입량을 늘려 거래량을 크게 앞서나갔어.


최근 3개월 기준으로 거래량을 비교해 보면 블러가 약 149만 ETH, 오픈씨가 약 84만 ETH로 블러가 오픈씨를 크게 역전했어. 블러는 창작자의 수수료 외에 거래 수수료가 없었던 게 사용자 입장에서 가장 큰 장점으로 작용한 것 같아. 오픈씨에서도 이를 인식해서 판매 수수료를 무료로 선언했지만 아직은 블러의 거래량을 따라오지 못한 것으로 보이네.  

🎨NFT

AI 챗봇이 인기라며?

웹3의 친구가 되어줄 헬로봇(Hellobot) NFT

출처: 핼로봇


헬로봇이라고 다들 들어봤어? 요즘 인기 있는 ChatGPT나 심심이같은 대화형 AI챗봇인데 누적 사용자가 450만 명이나 된다고 해. 이 헬로봇에서 웹3의 친구가 되어 줄 NFT를 발행한다는 소식을 알렸어.


헬로봇의 개발사인 띵스플로우는 2017년 시작하여 400개 이상의 콘텐츠를 대화하는 소통형 챗봇을 만들어왔어. 가장 대표적인 캐릭터는 ‘타로 챗봇 라마마’였는데 한때 페이스북 메신저나 카카오톡 친구로 유행한 적이 있었어. 소셜미디어를 제외하고 자체 앱만 해도 135만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는 서비스라고 해. 

띵스플로우가 관심을 받기 시작한건 2021년 6월쯤인데 배틀그라운드 게임 ‘PUBG’를 개발한 크래프톤에 인수되며 본격적인 스토리텔링형 기반의 게임을 출시하기도 했어. 사실상 이번 NFT 프로젝트도 크래프톤의 자회사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겠지. 헬로봇NFT는 요가펫츠, 이어핏츠, 주버스(구 클레이시티), AEB와 콜라보를 진행하고 네이버 제페토와 파트너십을 맺기도 했어. 


탄탄한 기업인만큼 NFT 프로젝트에 대한 자세한 발표가 나지 않았는데도 벌써 많은 커뮤니티가 형성되었어. 공식트위터 팔로워 약 5.8만 명, 디스코드 약 3.4만 명 정도가 모여있어서 NFT 투자자의 기대를 한 몸에 받고 있는 것 같아. 아직 로드맵이나 홀더 헤택 등 디테일 한 내용은 나오지 않았지만, 민팅일정은 이번 3월 말 발행이 될 것이라고 하네. 총 발행량은 5,000개로 커뮤니티 인원에 비하면 많지 않은 수량인 것 같아. 


프로젝트 초기부터 디스코드에 초대 코드를 받아서 들어가야 할 정도로 조심스럽게 커뮤니티가 생성되기도 했고, 화이트리스트나 OG(초기 기여자)로 선정되는 과정도 까다로워서 진입장벽이 높았어. 인기 대비 발행 시기까지 얼마 남지 않아서 구매 권한을 얻는 게 쉽진 않겠지만 아직 발표된 정보가 없는 만큼 지켜볼만한 가치가 있을 것 같아! 


트위터|디스코드|링크트리

INTERVIEW  
💬VC가 바라보는 웹3의 현재와 미래
by. 필로소피아벤처스 박서영 파트너


크립토와 메타버스를 포함해, 제너레이티브(Generative) AI, F&B 등 다양한 분야에서 초기 창업팀 중심의 스타트업을 발굴하는 신생 벤처캐피털(이하 VC) 필로소피아벤처스!

노브레터에서 효성 NFTtown과 협업하여 필로소피아벤처스 박서영 파트너님을 인터뷰했어.


필로소피아벤처스의 웹3 데모데이 이야기부터,

VC가 생각하는 웹3의 본질이 무엇인지 궁금하다면?  

웹3 창업가이자, VC인 박서영 파트너님과 함께 이야기하는

웹3의 현재와 미래 함께 읽어볼래? 🌝

😮DYOR😮 : Do your Own Research
노브레터는 정보를 전달하는 글이야. 절대 투자권유나 추천글이 아니야! 
암호화폐투자는 미래를 예측할 수 없는 많은 위험이 있는 생태계야. 많은 정보를 스스로 찾아보고 투자하길 바라! 
🌝오늘의 에디터 Anthony

올해 들어서 본격적으로 기업도 개인도 살아남을 궁리해야 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어.

투자도 좋지만 나 자신에게도 투자하고 싶어서 블록체인 학회에 들어가게 되었어.

겨울이 지나가면 따스한 봄이 오는 것처럼 반달이들도 함께 성장해 나가면 좋겠어!

$%name%$의 의견도 궁금해. 오늘 레터가 어땠는 지 피드백을 남겨줘!
📬 info@nov-letter.com 메일을 주소록에 추가하시면, 스팸 처리 되지 않아요! 
 📬노브레터가 마음에 드셨다면 친구와 동료에게 [노브레터를 공유]해주세요
📬노브레터 [오픈카카오톡]방에서 자유롭게 이야기해요! (비밀번호 : bandal)
🚀 Website : www.nov-letter.com🚀
 😎Contact : info@nov-letter.com 😎

Lately Newsletter

KBW2023 : 웹3 게이밍의 현황

어떻게 더 많은 웹3 게임 유저를 모을 수 있을까?
어돕션을 위해 넘어야할 장벽
어떤 경험을 제공해야 할까?

KBW2023 : 우리가 바라보는 NFT

NFT 크리에이터 로열티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
웹3 대중화, 성장의 가능성
퍼지펭귄이 장난감을 만든 이유는? : 블록체인과 IP 확장
NFT가 전통 예술에 미치는 영향

Join our Newsletter

지금  4,937 이 NOV를 읽고 있어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