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V

3월 1일 노브레터
0301. 위믹스 4대 거래소 복귀할까?
메일이 잘 보이지 않는다면?[웹으로 보기]
2023. 3. 1.홈페이지구독하기

안녕 반달아! 노브레터가 주 1회 레터를 발행한 지 어느덧 삼주차에 접어들었어. 매주 3번씩 인사를 나누다가 가끔 잊을만할 때 메일 알림이 울리니 기분이 조금 묘하더라고. 일주일에 한 번 밖에 만나지 못하는 만큼 더 알짜배기 정보를 모아 올게! 이번주도 화이팅이야💪

📨$%name%$님을 위한 승아의 153번째 노브레터

  • 이웅열 코오롱 명예회장 /업비트/ 메타콩즈/위믹스
  • 금감원, 가상자산거래소 꼼꼼히 검토할 결심
  • 위믹스, 코인원에 이어 4대 국내 거래소 모두 복귀할까?
  • 벨리곰, 우리 NFT 정상영업합니다.
🗞️한 줄 뉴스
📕Regulation

금감원, 가상자산거래소 꼼꼼히 검토할 결심 🙏

금융감독원이 국내 가상자산거래소의 스테이킹 서비스 점검에 나섰어.

스테이킹은 쉽게 말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코인을 맡기고 그에 대한 보상으로 코인을 지급받는 거야.

은행의 이자와 비슷한 느낌인데 은행은 고객이 맡긴 돈으로 자금을 운용해 일정 수익을 이자로 배분하는 형태라면, 스테이킹은 이용자가 맡긴 코인으로 블록체인 검증에 활용한 후 대가로 코인을 지급해.

즉, 코인의 스테이킹은 자산의 운용이 아닌 대행 서비스인 셈이지. 


금융감독원은 스테이킹 서비스의 증권성 여부 판단을 위해 각 거래소에 자사 스테이킹 서비스 구동 원리와 상품성에 대한 증명을 요청했다고 해. 금감원이 이런 행보를 보인 건 최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가상자산거래소 크라켄의 스테이킹 서비스를 증권법 위반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야. 크라켄은 이번 SEC의 스테이킹 관련 규제 조치로 벌금 3천만 달러를 내고 스테이킹 서비스를 종료하게 되었어.


SEC가 크라켄의 스테이킹 구동 방식을 문제 삼은건 아니지만 서비스를 위해 고객에게 받은 자금을 100% 스테이킹에 사용하지 않았다는 점, 그리고 스테이킹을 위해 받은 고객의 자금을 거래소의 다른 자금과 혼합해서 운용한 부분 등이 운영 투명성에 위배되었다고 판단했어. 이렇듯 미국의 가상자산에 대한 규제가 점차 심화되면서 국내에서도 관련 내용을 주목하고 있는 거지.

현재 국내 5대 원화 거래소들은 크라켄과 달리 스테이킹 고객의 자금 100%를 오롯이 스테이킹을 위해서만 사용하고 있어 스테이킹 서비스 자체를 증권으로 보기 어렵다는 입장이야. 금감원 측은 아직은 검토 단계라고는 하지만 규제가 확대될 경우 거래량이 줄어들어 사업다각화를 꾀하고 있는 거래소들에게 큰 장벽이 될 것 같아.

💰crypto

위믹스, 코인원에 이어 국내 4대 거래소 모두 복귀할까?

지난 2월 16일 위믹스가 코인원에 재상장된 일이 엄청난 화제가 되었어. 한번 상장폐지가 된 코인이 재상장이 된 사례는 국내가상거래소에서는 처음 있는 일이라 업계에서도 의견이 다분했지. 이어서 위믹스가 코인원에 이어 다른 국내거래소까지 재상장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어. 


어떻게 재상장을 하게 된 거야?

지난해 12월 8일 디지털자산거래소협의체(DAXA)의 만장일치로 위믹스 거래지원 종료(=상장폐지)를 선언했었는데, 71일 만에 재상장이 이루어지게 되었어. 닥사가 위믹스의 상장폐지를 선언했을 때는 위믹스의 유통량 계획 정보를 신뢰할 수 없다며 거래지원 종료를 결정했다고 밝혔지만, 이번 코인원의 재상장에 대한 설명은 닥사 측에 고지된 바가 없었다고 해.

코인원에 따르면 코인에 대한 상장 권한은 닥사와 별개로 거래소의 자율 권한이며, 위믹스 거래지원 종료 시 발생된 유통량 위반 등의 문제가 해소되어 재상장을 결정했대. 닥사는 이름에서도 명시되어 있듯, 협의체이기 때문에 아무런 법적 구속력은 없어. 하지만 국내 거래소들이 투자자 보호를 위해 한마음 한뜻을 모은 집단인 만큼 거래지원 종료 때처럼 상장을 고려할 때 닥사 측과 소통하지 않은 게 아쉽더라고. 코인원의 의견 뒤집기, 그리고 이 과정에서 아무런 힘을 쓰지 못하는 닥사를 향해 유명무실해졌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어. 


위믹스의 현황은?

코인원은 위믹스 상장을 진행하면서 침체되었던 거래량에 활기를 되찾았어. 26일 코인마켓 캡 기준 위믹스의 글로벌 거래량 33% 이상이 코인원에서 거래되고 있고 상장 후 열흘간 약 1억 6천만 원 정도의 거래 수수료를 벌었다고 추정돼. 위믹스의 가격도 지난해 거래지원 종료 직전에 200원대였지만 상장 후 한때 3,400원까지 폭등했어. 15일에는 일시적으로 코인원 내 위믹스 거래량이 비트코인 거래량을 뛰어넘기도 했다니 말 다했지? 이런 인기에 힘입어 코인원은 순 입금량, 누적 거래량 상위 투자자에게 위믹스 10만 개를 제공하는 이벤트를 개최하며 노를 젓는 중이라고 해.


위믹스가 코인원 이외에도 국내 4대 원화거래소에도 재상장될 가능성이 높아졌어. 위믹스의 발행사 위메이드는 지난해 12월 7일 위믹스 거래지원 종료 이후 국내 원화거래소를 대상으로 가처분 효력 정지 항고 소송을 냈어. 거래지원 종료에 불복하겠다는 입장이었지. 하지만 코인원에 위믹스 상장이 확정되면서 코인원에 대한 소송을 취하했고 곧이어 업비트, 빗썸, 코빗에 대한 소송에도 모두 취하서를 제출했대. 위메이드 측은 재상장 여부와 무관하게 위믹스를 비롯한 블록체인 사업에 집중하고 앞으로도 국내외 거래소 추가상장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어. 앞으로 위믹스가 어떤 거래소에 추가 상장될 수 있을지 궁금하구먼!

  🕶️ NFT event
벨리곰 : 우리 NFT 정상영업합니다🐻‍❄

출처 벨리곰


지난 주말 롯데홈쇼핑의 벨리곰 NFT 홀더파티가 롯데월드에서 개최되었어. 일반 영업시간이 아닌 오후 11시부터 새벽 5시까지 야간 개장으로 4천 명의 인원이 13개의 어트렉션을 마음껏 즐길 수 있었다고 해. 벨리곰은 해당 홀더파티에서 AMA를 진행하며 벨리곰의 시즌2 계획을 밝히기도 했어. 


  • 폴리곤으로의 마이그레이션
  • 폴리곤 내 프로젝트들과의 협업 
  • 보상체계 젤리의 등장 : 시즌1 NFT 등급에 따른 글로벌 NFT WL 제공 및 젤리 차등지급


위에 언급된 것은 AMA의 주 내용이야. 젤리는 앞으로 오픈될 젤리 마켓에서 다양한 상품 구매는 물론 할인 혜택도 받을 수 있는 보상이야. 향후 벨리곰이 콜라보할 글로벌 NFT의 화이트리스트와 다양한 브랜드는 문화생활 할인혜택을 누릴 수 있을 거라고 해. 온보딩 기간 동안에는 커뮤니티 활동 및 마켓플레이스에 리스팅 되지 않은 NFT를 스테이킹하면 기간에 따라 젤리 보상을 받을 수 있어. 이와 관련한 시스템은 5월쯤 제대로 정리될 모양이야. 


나도 현장에서 홀더파티를 즐겼던 사람 중 하나였는데 벨리곰 시즌2는 새로운 NFT 출시 및 리워드시스템 젤리가 핵심인데도 불구하고 AMA의 내용으로는 충분한 설명이 되지 않아 아쉽더라고.

오히려 머릿속에 물음표가 가득해지는 시간이었던 것 같아. 3월 중 AMA를 한 번 더 진행한다고 하니 그때를 기다려보자!

😮DYOR😮 : Do your Own Research
노브레터는 정보를 전달하는 글이야. 절대 투자권유나 추천글이 아니야! 
암호화폐투자는 미래를 예측할 수 없는 많은 위험이 있는 생태계야. 많은 정보를 스스로 찾아보고 투자하길 바라! 
🌝오늘의 에디터 승아


요즘 반달이들은 어떻게 지내고 있어? 나는 지난 한 해 NFT에만 집중했던 시선을 잠시 돌려 요가나 독서모임 등 다양한 취미생활을 시작하고 있어. 그중에 가장 꽂힌 건 슬램덩크! 혹시 못 본 사람이 있다면 더퍼스트 슬램덩크 꼬옥…봐주기…🏀 빨간박박이 강백호 사랑해❤️

$%name%$의 의견도 궁금해. 오늘 레터가 어땠는 지 피드백을 남겨줘!
📬 info@nov-letter.com 메일을 주소록에 추가하시면, 스팸 처리 되지 않아요! 
 📬노브레터가 마음에 드셨다면 친구와 동료에게 [노브레터를 공유]해주세요
🚀 Website : www.nov-letter.com🚀
 😎Contact : info@nov-letter.com 😎

Lately Newsletter

KBW2023 : 웹3 게이밍의 현황

어떻게 더 많은 웹3 게임 유저를 모을 수 있을까?
어돕션을 위해 넘어야할 장벽
어떤 경험을 제공해야 할까?

KBW2023 : 우리가 바라보는 NFT

NFT 크리에이터 로열티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
웹3 대중화, 성장의 가능성
퍼지펭귄이 장난감을 만든 이유는? : 블록체인과 IP 확장
NFT가 전통 예술에 미치는 영향

Join our Newsletter

지금  4,937 이 NOV를 읽고 있어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