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V

크로스체인과 인터체인 브릿지
크로스체인과 인터체인

크로스체인 인터체인

✋크로스체인(Crosschain)과 인터체인(Interchain)

크로스체인과 인터체인은 서로 다른 코인과 코인을 연결하는 기술을 의미하는 단어야.
원래대로라면 서로 다른 규격을 가진 코인은 서로 연결되거나 변환될 수 없어. 그걸 가능하게 만들어주는 시스템이 바로 크로스체인 브릿지와 인터체인 브릿지야.
서로 다른 코인을 연결함으로써 블록체인을 확장시키는 거지. 크로스체인과 인터체인 모두 브릿지의 역할을 하며 블록체인의 확장성과 상호운용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비슷하다고 볼 수 있어.

✋그럼 브릿지는 어떤 상황에 필요할까?

일반적으로 크로스체인 브릿지가 필요한 상황은 세 가지가 있어.
첫 번째로 다른 체인의 디파이(Defi)에 스테이킹을 하려는 경우, 두 번째로 다른 체인의 NFT를 구매하려는 경우 그리고 세 번째로 1번 체인에서 3번 체인으로 가려고 할 때, 직접 갈 수가 없어서 2번 체인을 경유하는 경우가 있지.

✋브릿지를 이용하는 방법 역시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1️⃣거래소의 브릿지를 통한 체인 간 이동

바이낸스나 유니스왑과 같은 거래소에서 제공하는 브릿지 기능을 통해 토큰이나 코인을 다른 체인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거래소 브릿지는 이동 중에 해킹에서 비교적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지.
하지만 거래소에서 지원하는 브릿지의 체인 종류가 많지 않기 때문에, 브릿지를 이용할 수 있는 체인이 한정적이라는 단점 역시 존재해. 또한 거래소 브릿지는 수수료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소액으로 여러 번 이동하기보다는 한 번에 많은 금액을 이동하는 작업에 적합하다고 볼 수 있지.

2️⃣탈중앙 크로스체인 브릿지를 통한 체인 간 이동

스푸키스왑(Spookyswap)이나 국내의 오르빗브릿지(Orbit bridge) 등 탈중앙화된 크로스체인 브릿지를 통해 토큰이나 코인을 다른 체인으로 이동시키는 것 역시 가능해. 탈중앙 크로스체인 브릿지를 이용하면 거래소 브릿지보다 다양한 체인의 이동이 가능해. 하지만 거래소 브릿지에 비해 해킹에 대해 마음을 놓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지. 브릿지 액수에 따라 수수료가 정해지기 때문에 소액을 이동시키는 작업에 적합하다고 볼 수 있어. 

대표적인 크로스체인 인터체인 프로젝트

💎폴카닷(Polkadot)

 

출처 polkadot 

폴카닷은 대표적인 인터체인 프로젝트 중 하나야. 단순히 투자를 위한 가상화폐라기보다는 서로 다른 블록체인을 연결하기 위한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일종의 네트워크라고 할 수 있지.
폴카닷은 그 간 코인들의 고질적 문제인 확장성, 거버넌스, 격리성, 개발 가능성, 적용 가능성을 모두 해결했다는 점에서 유망하다는 의견이 많았어.
또한 이더리움의 공동 창업자인 캐빈 우드가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기 때문에 많은 주목을 받고 있기도 하지. 폴카닷은 여러 블록체인들이 모여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는데, 각각의 독자적으로 운영하는 파라체인(Parachain)과 이들을 연결해 주고 보안을 책임지는 릴레이체인(Relaychain)으로 구성되어 있어.

💎코스모스(Cosmos)

 

출처 vecteezy

코스모스도 폴카닷와 마찬가지로 대표적인 인터체인 프로젝트 중 하나야.
이더리움의 단점인 비싼 가스비와 느린 처리 속도를 보완하기 위해 코스모스가 이더리움을 확장하는 수단으로 채택되면서 화제의 중심이 되기도 했었지. 코스모스는 2019년 중순부터 코스모스 기반 블록체인 개발 툴인 SDK(Software Development Kit)를 배포해왔어.
당시 테라(Terra)카바(KAVA)바이낸스 체인(BEP-2) 등의 블록체인들이 코스모스 SDK를 기반으로 만들어졌지. 그 이후 탈중앙화 거래소(DEX)인 오스모시스(Osmosis)를 중심으로 코스모스의 인터체인 환경을 구축 해나가고 있어.

💎아르고(Aergo)

 

출처 aergo

아르고는 대표적인 크로스체인 프로젝트야.
아르고는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상용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어. 기업들은 아르고의 플랫폼을 이용해서 쉽고 빠르게 본인들이 만들고자 하는 플랫폼을 개발할 수 있지.
아르고를 제작한 기업인 블로코가 삼성전자의 후원을 받았다고 해서 한때 삼성 관련 코인이라고 여겨지며 국내에서 자주 언급이 되기도 했었어. 

Lately Newsletter

KBW2023 : 웹3 게이밍의 현황

어떻게 더 많은 웹3 게임 유저를 모을 수 있을까?
어돕션을 위해 넘어야할 장벽
어떤 경험을 제공해야 할까?

KBW2023 : 우리가 바라보는 NFT

NFT 크리에이터 로열티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
웹3 대중화, 성장의 가능성
퍼지펭귄이 장난감을 만든 이유는? : 블록체인과 IP 확장
NFT가 전통 예술에 미치는 영향

Join our Newsletter

지금  4,937 이 NOV를 읽고 있어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